깃5 깃허브로 협업하기 ※ 여러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 사용하기 하나는 PC, 하나는 노트북의 저장소라고 가정하고, 모두 하나의 깃허브 계정으로 둘 이상의 컴퓨터에 원격 저장소를 공유해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이다. 1.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- git clone 원격 저장소를 기존에 연결된 지역 저장소 외에 다른 지역 저장소에서 사용하려면 원격 저장소에 담긴 내용 전체를 지역 저장소로 가져와야 한다. $ git clone 복사한 주소 붙여넣기 git_home $ git clone 복사한 주소 붙여넣기 git_office 결과 >> ▶ git_home 디렉터리와 git_office 디렉터리에 같은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해보기 $ cd git_home $ git log 결과 >> ▶ 이렇게 원격 저장소를 복제하면 자동으로.. 깃 2020. 8. 15. 깃허브로 백업하기 ※ 원격 저장소와 깃허브 1. 원격 저장소란 깃에서는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(remote repository)를 연결해서 버전 관리하는 파일들을 쉽게 백업할 수 있다.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를 말한다.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'백업'과 '협업'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. 2. 깃허브로 할 수 있는 일들 (1) 원격 저장소에서 깃을 사용할 수 있다. - 깃허브는 깃 사용을 위한 원격 저장소를 제공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따로 깃을 설치하지 않고도 온라인상에서 깃의 버전 관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 (2) 지역 저장소를 백업할 수 있다. - 깃허브에 원격 저장소를 만들고 사용자 컴퓨터의 지역 저장소를 연결한 후 동기화하면 지역 저장소를 인터넷.. 깃 2020. 8. 15. 깃으로 버전 관리하기 ※ 깃 저장소 만들기 1. 깃 초기화 하기 $ git init ※ 버전 만들기 1. 스테이지와 커밋 이해하기 작업 트리(working tree) : 작업 트리는 파일 수정, 저장 등의 작업을 하는 디렉터리로, '작업 디렉터리(working directory)'라고도 한다. 스테이지(stage) : 버전으로 만들 파일이 대가히는 곳. 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라고도 한다. 예를 들어 작업 트리에서 10개의 파일을 수정했는데 4개의 파일만 버전으로 만들려면 4개의 파일만 스테이지로 넘겨주면 된다. 저장소(repository, 리포지토리) : 스테이지에서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곳. 먼저 작업 트리에서 문서를 수정한다. 수정한 파일 중 버전으로 만들고 싶은 것을 스테이징 .. 깃 2020. 8. 14. 깃과 브랜치 ※ 브랜치란? 1. 브랜치가 필요한 이유 만약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을 때 오류 없이 완벽하게 동작한다는 보장이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? 제대로 동작하는 소스는 그대로 둔 채 새 소스를 추가한 버전을 따로 만들어 관리하고, 완벽하게 완성한 다음 원래 소스에 더할 수 있다면 아주 편리하다. 이럴 때 사용하는 방법이 깃의 '브랜치(branch)'라는 기능이다. ※ 브랜치 만들기 1. 새 브랜치 만들기 $ git branch apple $ git branch google $ git branch ms $ git branch 결과 >> master 앞에 * 는 아직 우리가 master 브랜치에서 작업하고 있다는 뜻 2. 브랜치 사이 이동하기 - git checkout $ git checkout apple 결과 >.. 깃 2020. 8. 14. 깃 시작하기 ※ 지옥에서 온 관리자, 깃 1. 깃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? 버전 관리 : 깃은 문서를 수정할 때마다 언제 수정했는지, 어떤 것을 변경했는지 편하고 구체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버전관리 시스템이다. 백업하기 협업하기 위의 세 가지 기능은 순서대로 배워야 한다. ※ 리눅스 명령 연습하기 1. 현재 디렉터리 살펴보기 $ pwd 결과 >> 2. ls : 현재 디렉터리에 어떤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할 때 $ ls 결과 >> 3. ls -la 리눅스 명령에 옵션(Option)을 추가하려면 붙임표(-)와 원하는 옵션을 나타내는 글자를 함께 입력한다. 예를 들어 파일과 디렉터리의 상세 정보까지 표시하는 옵션을 추가하려면 ls 명령 뒤에 '-l'을 추가로 입력한다. 숨긴 파일과 디렉터리를 표시하려면 '-a'를.. 깃 2020. 8. 13. 이전 1 다음 반응형